오전 11시, 케네디 공항에서 출발하여 솔트 레이크 시티에 착륙했다.
미국 중서부 여행에 들뜨기에 앞서 조금 두려웠던게,
아무래도 내 스스로 서부 미국인들에 대한 낯설음? 이 있었던것같다.
하지만 직접 와보니 오히려 동부 사람들보다 친절한것!
처음으로 들린 맥도날드에서는 직원이 한국말 알려달라고 친근하게 다가올 정도였다
그래서 나도 훈훈하게 사랑해 이 한마디 알려주고 왔다.
솔트레이크 visitor center 에서는
상점이 닫은 시간인데도 불구하고 홀로 물을 사러 가는 나를
퇴근하려던 직원이 발견하고는 직접 상점을 다시 열어서 물을 공짜로 내어주시도 하였다
가는 곳곳마다 어디서 여행왔니, 자기 아는 사람도 한국에 갔다 왔다, 일부러 더운데까지 와서 수고한다 등등
친근한 말투와 가벼운 농담들이 참 마음 따뜻하게 해주었다.



오늘 찍은 솔트 레이크 파노라마 사진.
정말로 덥고 덥고 더웠다
다행히 한국처럼 습한 기후는 아니고 무식하게 뜨겁기만 한거라 불쾌하지는 않았지만
그것을 능가하는 생명의 위협이...

호수는 마치 언 것 같이 파도 하나없이 잔잔했다.
게다가 염분이 범상치 않게 높기 때문에 호수 표면과 가장자리에 하얀 소금이 쌓여있다.
또 가까이 간 사람들은 다 봤겠지만
하얀 소금뿐만 아니라 검은 깨같은게 쌓여있는데
이것이 다 하루살이들이다.
사람을 물진 않지만 새까맣게 몰려있는게 징그럽다..





그래도 극복하고 호수에 들어갔다!
수심이 깊지 않아서 발만 담그기 딱 좋다.
호수에 벌레? 인지 같은게 둥둥 떠다니지만 용케 무시하고..


하여간 첫날 숙소 가기전에 들린 곳 치고는
덥고 좋은 추억을 많이 남겼다


<University of Southern Denmark Student Housing Winning Proposal / C.F. Møller Architects>

출처 : http://www.archdaily.com/321445/university-of-southern-denmark-student-housing-winning-proposal-c-f-moller-architects




이번 과제부터는 건축적인 다이어그램을 배우기 시작한다.

구글에 architectural diagram 을 검색하면 여러 복잡한 다이어그램이 많이 나오는데, 그런 것들은 후에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그리는 것이고,

아직 1학년 1학기 때문에 전문적인 다이어그램 보다는 스케치에 가까운 다이어그램을 그린다.


다이어그램이라고 괜히 거창한게 아니라, 

위의 예시처럼 기본적인 컨셉, 간단한 외형적인 요소 등을 스케치하듯이 그린 것도 다이어그램이라고 할수 있다.




일단 이번 과제에서 내가 분석해야하는 건축물을 살펴보자면,






Peter Eisenman - House i

출처 : pinterest



처음에 이 집을 보았을 때 느낀 것은 사람이 사는 집이 아니구나 였다.

그만큼 occupiable space 보다는 어떤 원리와 규칙으로 집을 짓는가에 더 집중된 건축이라는 것이다.





이에 





'표현, 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416 ARC 181 Syracuse Hendricks Chapel - Section Axon  (0) 2016.11.16
101816 ARC 107 Ex. 3.4  (0) 2016.11.16
100416 ARC 107 Ex. 3.3 -1  (0) 2016.10.05
092916 ARC 107 Ex 3 파이널 핀업  (0) 2016.10.05
092016 ARC 107 Ex. 1, Ex. 2 Process  (0) 2016.10.05

출처 : http://www.andreaponsi.it/home_content.html



수업시간에 수업은 안하고 웬 건축가가 와서 강의를 시작했다.

강의에 대한 논문을 써야하기 때문에 억지로 듣기 시작했었지만,

중간 정도부터 이 건축가는 천재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Sun Set Clock


일단 시작은 대표작부터, 

Peter Eisenman 의 sun diagram 에서 모티브를 얻어 하루 중 해의 위치와 낮과 밤의 길이등은 선 하나로 나타낸 시계이다.

이 시계를 내부에 들임으로써, 안과 밖의 중재가 되는 것이다.







안드레아 폰시는 전반적으로 선과 자연, 그리고 몸과 관련된 작품을 많이 남긴다.

선은 모든것의 기초와 시작이며,

자연과 몸은 우리, 사람과 공간을 가장 쉽게 이어주는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건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최대한 주변 소재지와 잘 연결되는 외부 디자인과,

실내는 선으로 이루어진 구리 가구를 써서 사람의 움직임을 특정한 방향으로 인도하고 있다.













+ Recent posts